말라카(Malaka)에서도 지도 한장 달랑 들고 돌아다니던 우리는 부킷 차이나(Bukit China) 쪽으로 향했다. Bukit은 언덕, China는 중국이니까 중국인의 언덕이란 뜻. 그렇담 중국도 아닌 말레이시아에 왜 이런 지명이 있는걸까? 명나라 시대의 장군인 정화의 원정 이후, 말라카의 술탄이었던 만수르 사(Mansur Shah)는 명나라 황제의 딸 항리포(Hang Li Poh)를 왕비로 맞았다. 중국의 힘을 빌려 북방에 있던 아유타야(옛 태국의 나라)를 견제하려 한 것이다. 항리포가 500명의 시녀를 데리고 이 언덕 위에 살게 된 이후로 이곳은 중국인의 언덕(Bukit China)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한다. 또한 이때 정화 장군의 원정길에 따라 나선 상인들이 동남아 각지에 정착하여 그 후손들이 지..
멜라민 파문이 불거져 나오기 전의 일이다. 동생이랑 집근처에 마트에 가서 장을 보던중 평소 즐겨 먹던 키캣을 사려고 과자코너로 갔다. 별생각없이 길다랗고 빨간 포장에 키캣 낱개가 몇개든 제품을 집어들었다. 장바구니에 담으려는 순간 동생이 말한다. 오빠, 그거 키캣이 아니네. 짝퉁이네...^^; 깜짝 놀란 나는 다시한번 포장을 자세히 살펴봤다. 키캣이 아닌 키커...ㄷㄷㄷ; 똑같은 빨간 포장에, 글자체, 심지어는 발음도 비슷하다. 키캣 오리지널 제품..^^; 완전 똑같다.-_-a 얼마전 다음 유머 게시판에서 본 중국의 아이리버 짝퉁 mp3 제품이나 삼성전자 짝퉁, 삼송. 심지어는 마티즈 짝퉁 등을 보면서 혀를 찼던 기억이 나는데... 우리나라도 만만치 않군.. 소위 식품 업계에서는 대기업이라는 기업도 이정..